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영양 부족이나 만성 질환이 있으면
세포 수 부족으로 인한 손상을 만회할 수 없어 ‘따라잡기 성장’이 이루어지기가 어렵습니다.
대개 출생 시 신생아의 신장은 50cm, 체중은 3.3kg정도 되며 1세가 되면 신장은 75cm, 체중은 10kg됩니다. 2세경의 신장은 87~88cm 됩니다.
정상 성장과 사춘기
1. 정상 성장 유형
사람의 성장은 성장 속도를 볼 때 4 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태아기~2세(제1성장 급증기)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영양 부족이나 만성 질환이 있으면
세포 수 부족으로 인해 ‘따라잡기 성장’이 이루어지기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출생 시 신생아의 신장은 50cm, 체중은 3.3kg 정도 되는데,
1세가 되면 신장은 75cm, 체중은 10kg 정도이며, 2세경의 신장은 87~88cm 정도 됩니다.
2) 2세부터 사춘기까지의 서서히 성장하는 시기
거의 일정하게 1년에 4~6cm씩 자라는 시기로 5세가 되면 출생 시 키의 두 배 정도인 약 100cm가 됩니다.
3) 사춘기~15, 16세(제2성장 급증기)
사춘기는 남녀에 따라 또는 같은 성에서도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찾아옵니다. 여자아이는 평균 만10세에, 남자아이는 평균 만12세에 사춘기가 시작됩니다.
여자아이는 초경 전에 키가 많이 자라 1년에 평균 6~10cm정도 크게 되며 초경이 시작되면
2~3년간 둔화되어 초경 이후에는 신장에 5~6cm 정도 밖에 크지 않습니다.
이때의 키가 최종 성인의 신장이 되지만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됩니다.
초경이 시작되면 키 보다는 체중이 더 늘게 되지요. 즉 여아는 초경 전에 대개
키가 거의 다 자라게 되는데 한국 여아들의 초경 평균 연령은 만 12세경 입니다.
남아의 경우는 사춘기도 2년 정도 늦게 시작되고 사춘기 중, 후반까지 자라며 연간 8~12cm 자라고
여아보다 2년 더 자라서 남자 성인키가 여자 보다 크게 되는 것입니다. 충분한 영양 공급이 매우 중요합니다.
4) 15, 16세~성숙기(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시기)
사춘기가 지나면 성장속도가 급격히 줄어 조금씩 자라다가 성인키에 도달하게 됩니다.
여아의 경우 만 14~16세, 남아의 경우 16~18세면 대개 신장은 연간 2cm 미만으로 자라서 성인신장에 도달합니다.
사춘기도 거의 완성되어 겨드랑이 털도 완연하게 됩니다.
2.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정상적인 소아의 성장은 유전 및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유전적 요인은 인종, 민족, 가계, 연령, 성별과 같은 것들이 있고, 출생 시부터 이미 결정되어 있으며,
환경적 요인에는 영양, 사회경제적 요인, 질병, 계절, 심리적 요인 등으로 출생 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유전이 키에 미치는 영향력을 20~30%에 불가하다고 생각하였고 환경적 요인을 더 중요시하였지만,
지금까지의 발표된 많은 연구에 의하면 유전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 아이가 또래보다 작다면 출생시부터 작았는지, 가족들이 뒤늦게 자라는 휴형인지,
가족 모두가 키가 작은지를 알아봐야 합니다. 또한 매년 아이의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고,
초등학교 입학 전에 전반적인 신체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사춘기
1) 사춘기의 시작과 사춘기 급성장
사춘기란 어른으로 몸과 마음이 성숙하는 시기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난소와 고환의 발달로 임신을 할 수 있도록 생식 기관이 발달합니다.
사춘기의 여자는 유방이 발달하고 생리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남자에서는 고환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1) 남아의 사춘기
남자의 평균 사춘기 시작은 만 11.5세, 즉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때 쯤 사춘기가 시작됩니다.
이 시기에 고환(약 4 mL : 어른 중지 끝마디 정도 크기)과 성기가 커지고 음모가 나며,
여드름도 생기고 변성기가 시작된 후 비교적 늦은 시기에 신장이 훌쩍 자랍니다.
사춘기 급성장은 신생아기 이후에 가장 빠른 성장기로서 이때 남자는 2~3년간 25~30cm 정도 자라며,
턱수염과 겨드랑이에 털이 나기 시작한 후에는 성장 속도가 둔화되어 2~3년 후인 고등학교 1~2학년쯤에 키 성장이 멈춥니다.
턱수염과 겨드랑이에 털이 많이 났다면 앞으로 더 이상 키가 많이 자라지 않는다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2) 여아의 사춘기
여자아이는 약 1년 정도 남아보다 일찍 사춘기가 시작되어 평균 10~11세경에 가슴이 나오기 시작하며
이후에 음모가 나게 되고 초경이 있는데, 가슴이 나온 뒤 초경이 있기까지 약 2년~3년 동안 키가 급속하게 자랍니다.
이 시기의 여아는 평균 15~20cm 가량 자라며, 초경 후에는 성장 속도가 둔화되지만 2~3년은
키가 더 자라기 때문에 보통 중학교 2~3학년까지 키가 큰 후 성장이 멈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자에서 초경은 골 연령 12~13세 정도에 시작되며 초경이후에는 약 3년간 6cm 정도 더 자라게 됩니다.
남자와 여자의 성인키가 약 13cm 정도 차이가 나는데, 남아의 사춘기 발현이 여아보다 늦고
사춘기 급성장 시작 전의 키가 크며, 사춘기 급성장 동안에 키가 더 많이 크기 때문입니다.
2) 사춘기의 성장과 호르몬 분비
사춘기 때 신장이 갑자기 크는 이유는 여러 가지 호르몬 때문입니다.
성 호르몬은 성장 연골에 직접 영향을 주며, 간접적으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성호르몬이 결핍된 환자는 사춘기 급성장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사춘기 때 증가되어 인슐린유사성장인자-1(IGF-1)의 생성을 자극하여 사춘기 급성장을 조절합니다.
또한 연골의 성장에는 충분한 양의 갑상선 호르몬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갑상샘저하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춘기 급성장이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원인
저신장이란 신장이 같은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표준치에서 3백분위수 이하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즉 같은 성별과 같은 생일의 아이들 100명 중에서 3번째 이내로 키가 작은 경우를 말합니다.
뼈는 칼슘, 인, 마그네슘이 1:2:3으로 들어있고 나머지가 각종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에너지도 뇌하수체에서 생산되는 동물성 에너지가 이 에너지를 몸 밖으로 빠지지 못하게 잡고서
에너지를 모든세포와 골수에 수송도 하는 일을 하는 인체에서 중요한 임무를 맡아서 합니다.
이 에너지가 부족하면 성장은 중단되고 수많은 질환으로 고생을 합니다.
이 에너지의 이름은 무엇인지 더보기에서 확인하세요,
아래 더보기 자세히 보시고 성장호르몬이 어디에 있는지 자세히 확인하시고,
뇌하수체에서 생산되는 성장호르몬(포스파티딜콜린 자연산) 적은 비용으로 좋은 변화 뿐만 아니라,
뇌도 강화하는, 뇌하수체 에너지를 자세히 보시고 찾아 행하시면,
해피한 나날들로 세로운 희망을 찾아 보세요.
세이브 바이오텍은
팔면 끝이 아닙니다. 시작입니다. 호전반응이 나타나면 언제든지 전화주세요
전화 상담소=010-7256-1112, 052-254-5200 메일= sanchna@naver.com
더보기=뇌하수체 호르몬
더보기=호르몬 감소의 질병들
더보기=뇌는 삶의 중추이다
더보기=인체 모든 기관을 조절하는 뇌
더보기=몸이 건강해야 뇌도 건강하다
더보기=호르몬이 남성의 삶을 지배한다
더보기=창조력을 키우는 도파민
더보기=호르몬 분비의 지휘자 뇌하수체
더보기=핵산에는 DNA와 RNA가 있다.
더보기=포스파티딜 콜린, 아세틸콜린
더보기=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더보기=황금알 오리난황정
더보기=지적 감퇴, 파킨슨병, 불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