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파티딜 콜린, 콜린, 아세틸콜린, 콜린인산, 인지질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포리파아제
포스파티딜 콜린[ phosphatidylcholine ] 대표적인 글리세로 인지질이며 지방산 2분자, 글리세린, 콜린인산(콜린의 인산 에스테르) 3자의 결합물. 포스파티딜콜린. 생체에서는 주로 생체막의 지질 이중층막을 형성한다. 뇌수, 신경, 혈구, 난황 등의 속에 들어 있으며, 또 식물의 씨 속에도 존재하지만 박테리아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아실기는 Cl4~C22가 일반적이다. 쉽게 산화되어 착색되는 밀랍 모양의 물질이며,
에테르, 알코올에 가용이고 아세톤에는 잘 녹지 않고 카드뮴 등과 불용성인 복합체를 만든다. 모든 pH에서 양성 이온으로서 존재하며 계면활성을 가지므로 포스파티딜 콜린은 식품과 약제의 유화제 등으로 사용된다.
포스파티딜 콜린은 포스포리파아제 A의 작용으로 지방산 1개를 상실하여 리조레시틴이 된다. β-포스파티딜 콜린도 합성되고 있으나 이것은 생체 중에서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콜린[ choline ]
수용성의 필수영양소로 포스파티딜콜린을 구성하는 분자 수용성의 분자로 필수영양소 중 하나다.
콜린은 일반적으로 N, N, N-트리메틸에탄올암모니움 양이온을 포함하는 사차암모늄염이라 불리기도 한다. 콜린은 4차포화아민(quaternary saturated amine)으로 (CH3)3N+CH2CH2OHX−의 화학식을 갖는다. 여기서 X−는 염소, 주석산염과 같은 반대 이온을 뜻한다. 콜린과 콜린 대사산물은
①세포의 구조가 제대로 존재하도록 하며 ②세포막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에서의 역할(아세틸콜린의 전구물질)과 ③메틸기의 주요한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콜린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콜린[ choline ]

포스파티딜콜린이나 플라스마로겐 등의 복합지질 성분이며, 아세틸콜린의 성분으로 신경의 흥분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이다.기억력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들 수 있다.
분자식 C5H15NO2. 흡습성이 강한 무색의 끈적끈적한 시럽 모양으로 생선 비린내가 난다.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며, 공기 중에 방치하면 이산화탄소와 결합한다.
물·메탄올·에탄올에 녹지만, 비극성 유기용매에는 녹기 어렵다. 콜린은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지방간의 예방인자로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각종 지방대사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또 분석화학적으로 코발트나 페로사이안화물의 비색정량(比色定量)이나 칼륨의 정량에 사용된다. 생체 내에서는 세린 → 에탄올아민 → 콜린의 경로로 합성된다.
콜린 (두산백과) 콜린인산[ choline phosphate , ~燐酸 ]
 콜린인산 포스파티딜콜린생합성의 중간체인 CDP콜린의 전구체.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콜린인산화효소(ATP: 콜린포스포전달효소, EC 2.7.1.32)에 의해 콜린과 ATP에서 생성된다. 또한 CTP와 같이 콜린인산시티딜기전달효소(포스포릴콜린전달효소, EC 2.7.7.15)의 작용에 의해 CDP콜린이 생긴다. 마그네슘염은 간담액 분비장애 치료에 사용한다. 콜린인산 (생명과학대사전, 도서출판 여초)
콜린[ choline ]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CH2OHCH2N+(CH3)3]OH-. 보통은 무색, 무취, 점주가 있는 강염기성의 시럽. 물, 알코올에 잘 녹지만 아세톤, 클로로포름에 녹기 어렵고 에테르, 벤젠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인지질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의 구성분자. 항지간(抗脂肝)인자로서 작용하므로 지방대사 이상에 인한
지방간 치료에 사용된다. 생체에서 효소에 의해 아세틸-CoA(아세틸 보효소 A)와 결합하여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을 생성한다. 콜린의 결핍은 간에 있어서 다량의 지방을 축적하거나 신장의 질환을 초래한다. 콜린 [choline] (화학용어사전, 2011. 1. 15., 일진사) 콜린[ choline ]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 동식물 조직에 유리 및 결합물의 상태로 분포한다. 결합물로서는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과 스핑고마이엘린 이외에 아세틸콜린으로서 존재한다. 체내에서는 세린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에탄올아민에 메틸기를 전이하여 합성된다. 극성이 크다. 기억력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들 수 있다. 관련이미지 콜린 콜린(영양학사전, 아카데미서적) 콜린[ choline ]  콜린 난황이나 생체막의 주요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콜린(레시틴)의 구성성분. 혈소판 활성화인자의 전구물질이 된다. 항지방간인자인 비타민B12복합체에도 포함되어 있다. 베타인, 메티오닌 생합성을 매개로 하여 생체반응의 메틸기 공급체가 된다.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전구물질이며 아세틸콜린 유리 후에 분해생성되는 콜린은 신경종말에 이입되어 재이용된다. - 동의어 트리메틸에탄올아민(trimethylethanolamine)
- 콜린 (생명과학대사전, 도서출판 여초)
콜린[choline, Cholin ]  콜린 구조식
【존재】 1849년 A. Strecker가 돼지의 간즙에서 분리하였다. 포스파티딜 콜린등의 구성분을 이루고, 비타민 B2 복합체의 하나로, 지방간 예방 인자이다. 지방 대사의 비정상에 근거한 지방간, 간경변, 아테롬성(atheroma) 동맥 경화, 심장 질환 등에 이용된다.
칼륨의 정량 시약, 혈액 등의 생물체 분비액 속의 칼륨을 헥사코발트(Ⅲ)산칼륨으로 침전시키고, 이 침전을 끓는물에 녹여 염산콜린과 페로시안화칼륨을 넣고 만들어진 선명한 녹색을 비색하여 침전 속의 코발트량을 구하고, 간접적으로 칼륨을 정량한다. 콜린 (화학대사전, 세화) -
|